에고에서 스승으로


에고에서 스승으로 cover
Cover of 에고에서 스승으로

총평

To be added.


되돌아보기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

조건화

유아기: 부모는 스스로 체험했다고 착각하는 호·오, 선·악, 미·추 등 가장 주관적인 가치를 진심어린 충고나 사랑이 듬뿍 담긴 정보로 잘 포장해서 자식들에게 권유하거나 심지어 강제한다.

우리 부모님 만큼은 나로 하여금 세상의 것을 나만의 스타일로 경험하게 해주셨다고 생각했는데, 돌이켜보면 나 역시도 부모님의 스타일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음을 종종 느낀다. 단편적으로, 감각이 예민한 어머니로부터 옷을 고르는 법, 음악을 듣는 법 등을 배웠고, 아버지로 부터는 이성적인 사고방식과 계획성을 배웠다. 이보다 더 깊은 것들이 오랜 기간 내재화 되어왔으며 나도 자연스럽게 그것들이 옳다고 생각하며 살아왔음을 느낀다. 나의 가치관은 당연스럽게 또 나의 2세에게 옮아가겠지만, 그렇게 옮아가는 나, 그리고 사회화의 과정속 타인들의 주관적인 가치들에 대해 의심하는 방법은 자식에게 가르쳐야 할 것 같다.

아동기: …. 자신의 가치관과 사회에서 요구하는 그것이 상호 충돌하더라도 대부분 사회의 가치관에 종속되어 적당한 선에서 절충…

장·노년기: …. 당신의 가치에 어긋나거나 반하는 것은 무엇이든 거부하고 심지어 상대를 설득하던가 혹은 강변을 통하여 당신이 옳다는 것을 증명라혀고 끊임없이 애쓴다. …. 다음 세대를 조건화시켜서 오염시킬 수 있는 만반의 준비를 끝내고 호시탐탐 기회만 노리면서 평생의 연륜(?)과 지혜(?)를 후대에게 물려준다는 착각 속에서 그 대상을 탐색하기 시작한다.

인간은 자신에게 편리한 기억을 선택하게 되어있다.

동일화

몸은 자신의 일부일 뿐이라고 전혀 생각하지 못한다. 이 ‘몸’과 나 ‘자신’을 동일화하는 것은 인간의 고통과 비극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이다.

인간은 자신이 최소한 주변 인물들보다는 열등하지 않고 평균치보다는 조금이라도 위에 있고(워비곤 호수 효과), 어떤 면에서는 남들보다 우월하고, 어쩌면 최고일지도 모른다는 착각을 자신에게 계속 최면하면서 산다.

에고는 수용 가능한 흥밋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다니지만 기억과 다르거나 반대되는 정보는 단호히 거부, 자신의 기억을 옹호, 방어한다. 에고는 모든 것을 의심하지만 자신의 기억에 의존하고 있는 해석과 판단은 결코 의심하지 않는다.

자동화

우리는 그저 일회성인 지식과 정보들을 끌어 모으지만, 그 얄팍한 정보의 축적은 그저 쓰레기 집하장처럼 되어버린다.

무수히 많은 쇼츠를 스크롤링하며 깨닫는다. 동남아에서 파인애플을 깎는 영상을 나는 왜 멈추지 못하고 계속 보고 있는가? 정보와 도파민의 홍수 속에서 그러한 부질없는 얄팍한 정보의 필요를 꼭 먼저 생각해보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현대 교육은 말을 사용하지 않는 침묵에 대해서는 가르침도 배움도 전무하다. 언어는 결코 수용적이지 않으며 공격적이어서 존재의 가장 소중한 가치들인 친밀함과 배려, 사랑, 연민, 자비 등을 파괴한다.

당신이 계속해서 말을 하는 행위는 불만스러움을 해소시키는 방편이며, 일종의 해방감을 갖게 한다. 누군가와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은 단지 수단일 뿐이고, 당신은 이야기를 그저 뱉어내고 있을 뿐이다.

깊이 공감한다. 나는 침묵을 표현의 수단으로서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현대 교육은 저자의 말 처럼 침묵의 가치를 가르치지 않는다. 그것의 여파인지 현대인들은 침묵을 견디지 못하며, 되려 두려워한다. 내가 내뱉는 말이 내 입장에서는 아무리 공감의 의미를 담고 있더라고, 상대방이 그것을 온전히 받아들일지는 모르는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침묵은 상대에게 온전히 집중하고 있다는 표편이 될 수 있으며, 그것은 어떤 말보다도 더 큰 공감을 전달할 수 있다고 믿는다.